[Elasticsearch] 설치 및 시작
1. JDK 설치
ES(Elastic Search)는 JVM위에서 구동하기 때문에 JDK를 설치해야 한다.
1.8 이상의 버전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openjdk-1.8.0을 설치했다.
-- 참고로 ES 7버전부터는 번들로 JDK가 추가되었다고 한다. 따로 설치 안해도 된다는데..
https://thinmug.tistory.com/22?category=1129471
[CentOS 7] 리눅스 java 설치, 환경변수 설정
자바 설치 CentOS7에는 기본적으로 java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개발버전이 빠져있단다. 그래서 다시 설치하겠다. 이번에는 yum을 통해 다운받을 생각이다. 먼저 yum list java*jdk-devel 로 다운받을 수
thinmug.tistory.com
2. ES(Elastic Search) 설치
ES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컴파일 설치와 Docker 설치 등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 yum으로 설치해보겠다.
ES를 yum으로 설치하기 전 먼저 repo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repo파일을 등록해야 ES를 yum으로 설치할 수 있다.
# sudo vi /etc/yum.repos.d/elasticsearch.repo
[elasticsearch]
name=Elasticsearch repository for 7.x packages
baseurl=https://artifacts.elastic.co/packages/7.x/yum
gpgcheck=1
gpgkey=https://artifacts.elastic.co/GPG-KEY-elasticsearch
enabled=0
autorefresh=1
type=rpm-md
를 입력한다.
저장 후
# sudo yum install --enablerepo=elasticsearch elasticsearch
GPG 키를 받아올지 묻는다. y
설치가 완료된 후 환경설정을 한다.
# sudo vi /etc/sysconfig/elasticsearch
이후 ES를 실행시킨다.
# sudo service elasticsearch start
OK가 나오면
# curl -XGET localhost:9200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으면 저런 화면이 나온다.
Elastic Search | Relation DB |
Index | Database |
Type | Table |
Document | Row |
Field | Column |
Mapping | Schema |
GET | Select |
PUT | Update |
POST | Insert |
DELETE | Dele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