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L] WSL2에 Rocky Linux 설치2024년 11월 16일
- 홀쑥
- 작성자
- 2024.11.16.:14
Rocky Linux란?
Rocky Linux란 Red Hat Enterprise Linux(RHEL) 기반의 무료 오픈소스 OS이다.
Red Hat이 CentOS의 지원을 중단하고 배포버전같은 CentOS Stream으로의 전환을 발표하자 CentOS의 창립자인 Gregory Kurtzer가 RHEL의 rebuild 버전을 만들 것이라고 발표했고, 초기 CentOS 공동 설립자 Rocky McGaugh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Rocky Linux로 명명되었다.
Rocky Linux는 RHEL과 1:1 대응되며, 안정성과 보안성에 중점을 두어 커뮤니티가 지원하는 운영 환경 등급의 기업 운영 체제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며 CentOS의 후속작으로 여겨진다.
현재 Rocky9, 코드네임 Blue Onyx이 나와 있으며, 일반 지원이 2027년 5월 31일까지, 보안 지원이 2032년 5월 31일까지 지원 될 예정이다. 또한 Rocky8, 코드네임 Green Obsidian도 일반지원이 2024년 5월 1일까지, 보안지원이 2029년 5월 1일까지 지원된다. Rocky9는 9.4, Rocky8은 8.10까지 공개되어 있다.
WSL2에 Rocky Linux 설치
사전준비
CDN에서 이미지 다운로드
다음 사이트에 들어가
Steps
에서9: Base x64_64
를 다운받는다.Import Rocky Linux to WSL or WSL2 - Documentation
8버전을 다운받고 싶다면
8:
옆의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받으면.tar.gz
의 확장자로 파일이 다운받아진다..
Base
말고도Minimal
,UBI(Universal Base Image)
가 있는데Minimal
은 말 그대로 필수 패키지만 있는 상태,UBI
는 컨테이너에 초점을 맞춘 배포버전이다.설치할 디렉토리 생성
WSL을 설치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나는 C드라이브에
WSL/Rocky9
디렉토리를 만들었다.설치
Win Key + X
로 퀵링크를 열고 터미널(관리자)를 클릭하여 관리자권한이 있는 터미널을 연다.이후
wsl.exe --import <배포판명> <저장할위치> <다운받았던 이미지파일위치> --version 2
명령어로 이미지를 설치한다.wsl.exe --list -v
명령어로 설치를 확인한다.설치를 확인했다면
wsl.exe -d <배포판명>
을 입력하여 WSL로 진입한다.또한 원하는 버전이 정확히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cat /etc/*release*
로 release 정보를 추출한다.이제
dnf update -y
로 패키지들을 업데이트해준다.SUDO 및 root password 설정
WSL2에 Rocky Linux를 설치해보니 sudo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root 패스워드가 없어 설정을 해주려고 한다.
먼저
passwd
명령어를 통해 root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절대 잊지 않도록 한다.패스워드를 설정했다면
dnf install sudo -y
로 sudo 패키지를 설치한다.만약 특정 사용자에 대해 sudo 명령어를 허용하기 위해선
visudo
명령어로/etc/sudoers
파일을 열러 해당 부분에 계정 및 권한을 설정해준다.추가 설정
WSL 고급설정
.wslconfig
파일 또는wsl.conf
파일을 통해 설치된 Linux 배포판들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wslconfig
는 WSL2에서 실행되는 모든 배포판에 전역설정되고wsl.conf
는 WSL1 또는 WSL2에서 실행되는 각각의 Linux 배포에 대해 설정을 구성한다..wslconfig
는 %UserProfile%(C:\Users\<유저명>
) 디렉토리에 파일이 위치해야 하고 메모리, 스왑메모리, 프로세서 수 등등을 설정할 수 있다.wsl.conf
는 각각의 Linux 배포판의/etc
디렉토리에 파일이 위치해야 하며 자동마운트, 네트워크, 초기사용자, 부트옵션 등을 설정할 수 있다.여기에서 Rocky Linux에서 강조하는 부트 옵션의
systemd
에 대한 활성화 설정과hostname
설정을 할 것이다.systemd 설치
먼저 systemd를 dnf로 설치한다.
dnf install systemd -y
그리고 wsl에서
vi /etc/wsl.conf
로wsl.conf
파일을 열고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network] hostname = ThinmugWSL [boot] systemd = true
:wq
로 파일을 저장하고 exit 명령어로 shell에서 나와 wsl.exe --terminate <배포판명> 으로 WSL을 재실행한다.이 후 -d 옵션으로 다시 터미널에 접속해 변경된 hostname과 systemd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
systemctl list-unit-files --type=service
이렇게 원하는 설치 및 설정이 모두 완료되었다.
참고자료
- Import Rocky Linux to WSL or WSL2 - Documentation
- CentOS Project shifts focus to CentOS Stream – Blog.CentOS.org
- WSL의 고급 설정 구성 | Microsoft Learn
- Systemd를 사용하여 WSL로 Linux 서비스 관리 | Microsoft Learn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 Starship으로 쉘 꾸미기 (0) 2024.11.17 [리눅스] VirtualBox 로 완전분산모드 만들기 (0) 2020.06.22 [CentOS 7] 리눅스 java 설치, 환경변수 설정 (0) 2020.06.20 [리눅스] 오라클 Oracle 11g XE 설치 (2) 2020.06.20 [리눅스] java,tomcat,PuTTY,winscp설치 (0) 2020.06.19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