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홈
  • 프로필사진
    홀쑥
  • 방명록
  • 공지사항
  • 태그
  • 블로그 관리
  • 글 작성
홀쑥
  • 프로필사진
    홀쑥
    • 분류 전체보기 (57)
      • Language & Framework (14)
        • Java (1)
        • Python (13)
      • DataBase (4)
        • NoSQL (1)
        • RDBMS (3)
      • Big Data & Ecosystem (9)
        • Hadoop (5)
        • Hive (2)
        • Sqoop (1)
        • Zeppelin (1)
      • Data Engineering (1)
        • Airflow (1)
      • Cloud & DevOps (1)
        • AWS (0)
        • GCP (1)
      • Monitoring & Logging (2)
        • ElasticSearch (2)
      • Infrastructure (12)
        • OS (12)
        • Docker (0)
        • Kubernetes (0)
      • Algorithm & CS (7)
        • 백준 알고리즘 (6)
      • Troubleshooting (5)
        • 오류 모음 (5)
  • 방문자 수
    • 전체:
    • 오늘:
    • 어제:
  • 최근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최근 공지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
      # Home
      # 공지사항
      #
      # 태그
      # 검색결과
      # 방명록
      • [WSL2]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WSL2 설치
        2021년 02월 26일
        • 홀쑥
        • 작성자
        • 2021.02.26.:04

        오늘은 Windows10에서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를 설치해보려 한다.

         

        WSL이란?

         

        WSL은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이다.

        기존에 윈도우에서 Virtual Machine을 사용하여 리눅스를 느리게 사용하거나, 리눅스를 따로 설치하여 부팅할 때 마다 OS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다.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about(마이크로소프트 docs) 에서 WSL을 사용하면 개발자가 기존 가상머신의 오버헤드 또는 듀얼 부팅설정 없이 대부분의 명령줄도구(CLI), 유틸리티 및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한 GNU/Linux환경을 수정하지 않고 Windows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다고 한다.

         

        WSL과 WSL2는 가장 큰 차이가 있는데 WSL에서는 리눅스의 시스템 호출을 Windows API로 변환하는 구조였지만

        WSL2는 Windows에 리눅스 커널을 올렸다고 한다. 따라서 WSL2는 Linux의 거의 모든 api를 지원한다.

        WSL 시작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 참고

         - 버전 확인

        WSL은 윈도우 10에서 지원하지만 성능이 향상된 WSL2는 x64 시스템은 Windows 1903 version 이상, ARM64 시스템은 Windows 2004 version에서 지원한다.

        그래서 먼저 내가 사용하는 Windows의 버전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Win키 + R을 누르면 실행창이 나오는데 입력창에 winver를 입력후 확인을 누르면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버전이 2004 이상이면 WSL2를 설치할 수 있다.

         - WLS 사용 설정

        Windows에서 Linux배포를 설치하려면 먼저 WSL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연다. 참고로 PowerShell은 Win키 + X -이후 A를 통해 관리자 권한으로 쉽게 열 수 있다.

         

        Win키 + X를 눌렀을 때

        그리고 PowerShell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기존 WSL은 이 후 linux 배포 설치를 하면 되지만 나는 WSL2 설치를 원하기에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 가산머신 사용 설정 

        WSL2를 설치하려면 가상머신 플랫폼 옵션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PowerShell( 관리자 권한) 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다음으론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를 다운받아야 하는데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 의 4단계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x64 시스템용과 ARM64 시스템 용이 따로 있어 확인 후에 다운로드 한다.

        확인은 Win키 + R 이후 msinfo32를 누르면 시스템 정보창이 나오는데

        시스템 종류에서 확인할 수 있다.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

        링크를 누르면 wsl_update_~~.msi 가 다운로드 되고 실행한다.

         

        하지만 this update only applies to machines with the windows subsystem for linux라고 나오면서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알고보니 WSL설정을 하고 재부팅을 하지 않아 그렇다고 한다. 그래서 재부팅 후 다시 실행했다.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는다.  Next를 누르고 진행하면 금방 끝난다.

         - WSL2 기본 버전 설정

        PowerShell을 열고 새 Linux 배포를 설치할 떄 WSL 2를 기본버전으로 설정해야 한다.

         PowerShell에서

         >> wsl --set-default-version 2를 입력한다.

         - Linux 배포 설치

        이제 Linux를 설치할 차례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데 공식홈페이지에 링크를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리눅스 배포들이 나온다.

        그리고 공식홈페이지에선 여러 버전을 지원하지만 난 Ubuntu 20.04 LTS버전을 설치하겠다.

        www.microsoft.com/store/apps/9n6svws3rx71

         

        Ubuntu 20.04 LTS 구매 - Microsoft Store ko-KR

        Microsoft Store에서 이 Windows 10용 앱을 다운로드하세요. 스크린샷을 보고, 최신 고객 리뷰를 읽고, Ubuntu 20.04 LTS에 대한 평점을 비교하세요.

        www.microsoft.com

        받기를 누르고 설치를 누르면 설치가 시작된다

        설치가 끝나고 실행하면 또 설치가 시작되는데 몇 분 걸린다고 한다.

        설치가 다되면 생성할 유저 정보를 입력하라 한다.

        유저정보를 입력하면 유저가 생성되고 WSL2 Ubuntu 20.04 LTS 가 성공적으로 설치됬다.

        이후로는 

        를 통해 WSL2를 사용할 수 있다. docs에서 윈도우용 터미널을 사용하는게 선택사항이라고 하니 한번 설치해보겠다.

         

        Microsoft Store에서 Windows Terminal을 검색하거나 

        docs.microsoft.com/ko-kr/windows/terminal/get-started의 링크를 통해 Windows Terminal을 찾고 다운받는다.

        설치가 완료되면 윈도우 터미널앱을 찾아 실행해본다.

        처음 키게되면 Windows PowerShell로 기본설정 되어있다.

        상단에 보면 내리는 버튼이 있는데 누르면 

        그림과 같이 여러 콘솔을 킬 수 있게 되어있다. 

        나는 default로 Ubuntu-20.04를 설정하기 위해 설정을 눌렀다.

        설정파일은 Json으로 되어있어 vscode로 열게 되었다. notepad나 메모장 또는 다른 것으로도 열 수 있다.

        Json을 열게 되면 여러 설정이 있는데 그 중 "defaultProfile"이 있다.

        그리고 밑으로 내려보면 profiles 에 list에 아까 보았던 파워쉘과 명령프롬프트 우분투 등의 숨김여부와 guid, name,  등등이 있는데 그중 guid를 위쪽 defaultProfile에 복사한다.

        저장 후에 Windows Terminal을 실행하면

        첫 창이 ubuntu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WSL에서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 등 저장장치 안의 내용들은 mnt -> c 또는 d 에 들어가면 있다.

         

        지금까지 WSL2로 Ubuntu 20.04 LTS를 설치해보았다.

        아직 많이 써보진 않았지만 문제점이 보이면 바로 올리도록 하겠다.

        다음글
        다음 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댓글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목차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감사해요
        • 잘있어요

        티스토리툴바